본문 바로가기
증권

대체거래소 뜻, 거래시간 및 향후전망

by MoneyKeyword 2025. 3. 3.

ATS

 

 

대체거래소(ATS) 뜻, 거래시간 및 향후 전망

최근 금융시장에서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도 기존의 한국거래소(KRX) 외에 새로운 증권 거래 플랫폼이 등장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본 글에서는 대체거래소의 개념, 거래시간, 해외 사례, 그리고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대체거래소(ATS)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전통적인 증권거래소(KRX, NYSE, NASDAQ 등)와는 별도로 운영되는 비공식 주식거래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대체거래소는 정식 거래소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보다 유연한 규제를 적용받으며,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거래 기회를 제공합니다.

1.1 대체거래소의 주요 특징

  • 규제 완화 - 전통 거래소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 엄격하여 거래 비용 절감 가능
  • 유동성 증가 - 다양한 투자자가 참여하여 거래 기회를 확대
  • 거래 속도 향상 - 효율적인 매칭 시스템을 통해 빠른 거래 가능
  • 거래 투명성 차이 - 일부 ATS는 다크풀(Dark Pool) 거래를 허용하여 익명 거래 가능

2. 대체거래소 거래시간

대체거래소의 거래시간은 기존 증권거래소와 유사하거나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거래소보다 더 긴 거래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1 한국 주식시장과 비교

한국거래소(KRX)의 정규 거래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규장: 09:00 ~ 15:30
  • 장전 시간외 거래: 08:30 ~ 08:40
  • 장후 시간외 거래: 15:40 ~ 16:00

반면, 미국의 대표적인 ATS인 Instinet, BATS, CHI-X 등의 거래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리마켓(Pre-market): 04:00 ~ 09:30
  • 정규장(Regular session): 09:30 ~ 16:00
  • 애프터마켓(After-hours): 16:00 ~ 20:00

이처럼 대체거래소는 정규 거래소보다 유연한 거래시간을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보다 다양한 시간대에 거래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해외 대체거래소 사례

대체거래소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서 이미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3.1 미국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ATS가 운영되는 국가로, 대표적인 대체거래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Instinet - 전자 주식거래의 선구자로 알려진 ATS
  • BATS Global Markets - 2017년 Cboe에 인수되었으며, 고빈도 거래(HFT)에 특화
  • Liquidnet - 기관투자자 중심의 블록 트레이딩(Block Trading) ATS

3.2 일본

일본은 2010년부터 대체거래소를 도입했으며, 대표적인 ATS로는 CHI-X JapanJapannext가 있습니다. 두 거래소 모두 일본 증권거래소(TSE)보다 낮은 거래 수수료를 제공하여 많은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4. 한국 대체거래소 도입 현황

현재 한국에서는 한국거래소(KRX)가 유일한 주식 거래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금융당국은 대체거래소 도입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4.1 대체거래소 도입 시 기대 효과

  • 거래 경쟁 촉진 - 독점적 구조가 해소되면서 수수료 인하 효과
  • 유동성 증가 - 새로운 거래 플랫폼 등장으로 시장 활성화
  • 투자자 선택권 확대 - 다양한 거래 환경 제공

5. 대체거래소의 향후 전망

대체거래소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한국에서도 도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5.1 대체거래소 도입 가능성

정부 및 금융당국이 증권시장 경쟁 활성화를 목표로 대체거래소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머지않아 한국에서도 ATS가 운영될 가능성이 큽니다.

5.2 기술 발전과 대체거래소

블록체인, AI 기반 거래 시스템 등의 발전으로 ATS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분산원장기술(DLT)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ATS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3 투자자 관점에서의 변화

대체거래소가 활성화되면 투자자들은 더 낮은 수수료, 빠른 거래 속도, 다양한 투자 기회를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크풀 거래 등으로 인해 시장 투명성이 저해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6. 결론

대체거래소는 기존 증권거래소의 대안으로, 보다 유연하고 경쟁력 있는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한국에서도 대체거래소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향후 금융 시장의 중요한 변화 요소가 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적절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